EMR 연계 실시간 분석부터 예측·지침 제공까지…한림대·한양대병원 등과 공동 실증 착수
전북대학교 조재혁 교수 연구팀이 국내 최초로 감염병 대응에 특화된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병상 모니터링을 넘어, 실시간 진단·예측·지침 제공까지 가능한 통합형 AI 조기경보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의 핵심은 감염병 진단 및 대응에 최적화된 소형 언어모델(small Large Language Model, sLLM)을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하는 데 있다. 해당 모델은 다기관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과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중증도 예측, 확산 추세 분석, 의료진 대응 지침 리포팅까지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조재혁 교수(전북대 소프트웨어공학과)는 인공지능 기술과 감염병 대응 시스템의 융합을 주도하며 연구를 총괄하고 있으며, 의료 현장 기반 실증은 한림대학교 이재갑 교수(감염내과), 한양대학교병원 박세윤 교수 등 국내 감염병 임상 전문가들과 공동으로 추진된다.
6개 병원 대상 실증 착수…범부처 연구사업 공식 출범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비롯한 범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방역연계 감염병 연구개발재단(GFID)의 ‘의료현장 감염 대응역량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이다. 지난 5월 27일 착수보고회를 통해 공식 출범했으며, 실증은 한림대학교의료원 산하 5개 병원(강남성심병원, 성심병원, 춘천성심병원, 강동성심병원, 동탄성심병원)과 한양대학교병원 등 총 6개 의료기관에서 이뤄진다
연구팀은 EMR 기반 다기관 연계 분석체계를 구축하고, 각 병원에서 수집되는 실시간 의료 데이터를 바탕으로 AI 예측시스템의 현장 적용성과 확장 가능성을 집중 검증할 예정이다.

“팬데믹 대응 역량 높일 국가 의료 인프라 될 것”
조재혁 교수는 “이번 시스템은 기술적 진보를 넘어, 데이터 기반으로 감염병의 조기 진단과 확산 방지를 가능케 하는 공공의료 체계의 혁신”이라며 “팬데믹 같은 국가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의료 인프라를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개발되는 AI 기반 통합 플랫폼은 단일 시스템 내에서 ▲EMR 연계 실시간 데이터 분석 ▲감염병 중증도 자동 분류 ▲확산 예측 ▲의료진 대응 지침 요약 기능까지 구현하게 되며, 국내 보건의료 AI 분야의 대표적 성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기술 개발에는 AI 전문 기업 아이브랩이 협력 기관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전북대학교는 앞으로도 융합형 감염병 대응 기술과 데이터 중심 공공의료 혁신을 선도해 나갈 방침이다.
#전북대학교 #조재혁교수 #감염병대응AI #sLLM #EMR연계 #AI조기경보 #한림대병원 #한양대병원 #공공의료혁신 #팬데믹대응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