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세계 최초로 플라빈 빛 파장 근적외선까지 확장 성공

백윤정 교수팀, 다섯 개 고리의 ‘오환형 플라빈’ 개발… 의료·환경·에너지 분야 혁신 기대

KAIST(총장 이광형) 화학과 백윤정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생체 유래 분자인 플라빈(Flavin)의 구조를 정밀 설계하여 빛의 파장을 근적외선(NIR) 영역까지 확장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생체 친화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갖춘 차세대 광소재를 제시하며, 향후 바이오이미징, 의료 진단, 친환경 에너지 변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자연계에서 주로 파란색~초록색 빛만을 방출하던 플라빈 분자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근적외선 발광에는 제약이 있었다. 이에 백 교수 연구팀은 기존의 삼환형 플라빈을 다섯 개의 고리로 확장한 ‘오환형 플라빈’을 새롭게 합성하고, 산소 및 황 등 이종 원자를 정교하게 도입함으로써 분자의 전자 구조를 정밀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이 새로운 구조는 772nm에 달하는 근적외선(NIR) 영역의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는 지금까지 보고된 플라빈 유도체 중 가장 긴 파장이다. 또한 이 분자는 준가역적 산화 특성도 함께 보여, 발광뿐만 아니라 전기신호 제어에도 응용 가능한 다기능성 분자 플랫폼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진 사진 : KAIST제공

원하는 빛을 ‘설계’하고 ‘제어’… 융합기술 플랫폼으로 확장 가능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통해 빛의 흡수·방출 특성을 원하는 대로 설계하는 분자 수준의 플랫폼 기술을 입증하였다. 전기화학 실험과 양자역학 계산을 통해, 구조 내 이종 원자 도입과 π-공액 확장이 분자의 광전기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정량적으로 규명했다.

이러한 설계 전략은 생체 이미징, 광치료, 유해물질 탐지, 디스플레이, 광촉매, 에너지 수확 장치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응용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백윤정 교수는 “플라빈의 빛 파장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은, 우리가 원하는 성질과 목적에 맞게 분자를 설계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이제는 빛을 단순히 활용하는 단계를 넘어, 상황에 맞는 ‘맞춤형 빛’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이는 의료·환경·에너지 산업 전반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KAIST #백윤정교수 #플라빈연구 #형광분자 #근적외선발광 #빛설계기술 #의료이미징 #분자플랫폼 #NatureCommunications #기초과학혁신

Social Share

More From Author

명지대-평내고, 고교-대학 연계 교육과정 협력 위한 MOU 체결

조선대, 졸업생 위한 실전형 취업지원 프로그램 본격 운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