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급감과 입학정원 미달, 그리고 새로운 대학교육 시스템의 서막 2036년, 대학의 절반은 문을 닫을 수 있다 한국의 대학은 지금,…
미국 외교의 후퇴, 교육에서 시작되다 – SFRC 보고서 분석
교육에서 시작된 외교 리더십의 위기 외교란 총칼이나 회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교육은 오랜 시간 동안 미국 외교의 보이지 않는 첨병이었다.…
중국 대학의 약진, 미국 대학의 퇴조? – 세계 고등교육의 힘의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트럼프의 고등교육 공격, 중국 대학에는 ‘기회’가 되고 있다 세계 대학지형이 흔들린다 – 지정학과 교육의 만남 2025년 7월 발표된 『US News…
전북대, 몽골서 ‘유학생 1천 명’ 대형 MOA 체결… 아시아 고등교육 협력 새 장 연다
울란바토르 바양주르흐구와 협약 체결… AI·SMR 등 첨단기술 인재양성 본격화 전북대학교가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의 최대 자치구인 바양주르흐구와 손잡고 최대 1,000명의 유학생을…
글로벌 반도체 인재, 한국에서 키운다 – 호서대-심텍, ‘현장형 기술경영 리더’ 양성 협력
심텍 해외법인 핵심인재, 호서대서 MOT 석·박사 과정 밟는다… 반도체 글로벌 경쟁력 강화 ‘교두보’ 산학협력의 새 지평, 한국에서 열리는 글로벌 인재…
상지대, 고령친화대학 모델 협약 및 교육기부 정책 협의
노인의 삶에 새로운 역할을 더하다 – 고령친화대학 모델 협약 상지대학교(총장 성경륭)는 7월 14일, (사)대한노인회 강원특별자치도연합회(회장 이건실)와 함께 고령친화 생태계 구축과…
전북대, 동문 장학 기부가 만든 따뜻한 연결
총동창회 장학사업 확대와 최윤진 동문 기부… 후배들의 오늘과 내일을 함께 밝히다 전북대학교의 동문 장학기부가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넘어 ‘동행’이라는 가치를…
인공지능보다 정밀하게, 뇌를 모사하다 – KAIST, 6배 정밀한 3D 뇌 플랫폼 구현
박제균·남윤기 교수팀, 세계 최고 수준의 다층 신경세포 네트워크 재현 성공… 신경질환 연구·약물 스크리닝 패러다임 전환 예고 KAIST(총장 이광형)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제균·남윤기…
교육의 국경을 넘다 – 부산대, 초고령사회, 유학생 유치, 실리콘밸리 창업까지… 실천하는 국제화 전략
부산대학교(총장 최재원)가 글로벌 시대를 주도하는 대학으로서 교육, 연구, 창업 세 분야에서 의미 있는 국제 협력의 성과를 연달아 내고 있다. 고령화…
동물복지의 사각지대, 대학원생의 시선이 조명하다
호서대 박고운 석사과정생, 예방수의학회 학술대회서 우수상 수상 호서대학교(총장 강일구) 동물보건복지학과 박고운 석사과정생이 ‘2025년 한국예방수의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해당 학술대회는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