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피지컬AI 생태계, 전북대가 만든다
전북대학교(총장 양오봉)가 ‘피지컬AI 핵심기술 실증(PoC)’ 국가 시범사업을 본격 주도하며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의 거점으로 도약하고 있다. ‘피지컬AI’는 단순 연산과 언어 생성을 넘어서 물리적 동작까지 가능한 인공지능 기술로, 로봇 등 하드웨어 기반 산업과 융합 가능한 AI 기술의 정점으로 평가된다. 이번 사업은 전북이 국비 229억 원을 확보하며 실증단계 주도권을 쥐게 되었으며, 전북대는 기획부터 실증, 인재양성, 인프라 구축까지 전 과정을 총괄한다.
양오봉 총장은 현재 전북대 창조2관에 1천 평 규모의 실증기반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으며, 향후 완주 이서캠퍼스에 18만㎡(5만5천 평) 규모의 ‘피지컬AI 전용 캠퍼스’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곳에는 현대차, 네이버 등과 연계된 산학연 클러스터가 집적될 예정으로, ‘산업용 로봇 AI 랩’, ‘피지컬AI 공동 캠퍼스’ 등이 포함된다.
전북대는 카이스트, 성균관대 등과 공동으로 통합 AI 플랫폼을 설계하고,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 국제 포럼 운영 등을 통해 국내외 핵심 기업 및 연구기관과 전략적 협력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양오봉 총장은 “피지컬AI는 생성형 AI를 넘어서는 차세대 기술로, 전북대는 세계 어디도 하지 못한 생태계 전체를 설계하고 있다”며, “전북이 기술주권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대학의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정동영 의원이 국회 예결위 소위 위원장 자격으로 2차 추경에 229억 원 예산 반영을 이끌어내며, 정부안에 없던 사업을 국회 예산으로 되살린 사례로도 주목된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AI는 전북의 생존 전략이자 국가의 미래를 여는 핵심”이라며 사업 확대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역이 머무는 사람이 있는 곳이 되도록 – JST 공유대학과 전북일자리센터 ‘맞손’
한편, 전북대 JST공유대학본부는 7월 10일 전북특별자치도일자리센터와 ‘지역 정주 인재 양성 및 고용시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대학과 지역 일자리 중간조직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청년층의 지역 정착과 산업 맞춤형 인재 육성을 촉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정주형 인재 양성과 취업 지원 ▲주력산업 인력 양성을 위한 정보 공유 ▲지역 기업 인식 개선 및 정착 유도 활동 등 다각적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JST공유대학본부 부본부장 최진하는 “이번 협약은 지역 고용 문제 해소를 위한 실질적 첫걸음”이라며 “지역 산업의 수요에 부합하는 인재를 대학이 책임 있게 양성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피지컬AI를 포함한 첨단산업이 전북에 자리잡기 시작한 지금, 지역 청년이 전북에 머무르고 일할 수 있는 교육–고용–정주 생태계를 맞물려 구축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전북대학교 #피지컬AI #로봇기술실증 #AI산업클러스터 #완주이서캠퍼스 #JST공유대학 #지역정주인재 #전북일자리센터 #전북청년정착 #AI기술주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