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열치료·항암 백신·면역관문억제제 병합으로 고형암 치료 효과 극대화
전남대학교 이준행 교수(의과대학), 박인규 교수(의과대학), 이시은 교수(치의학전문대학원) 연구팀이 암 면역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연구진은 광열치료, 항암 백신, 면역관문억제제를 병합한 복합 치료법을 통해 종양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암의 재발과 전이까지도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는 면역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암면역치료학회 공식 학술지인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에 게재되었으며, 차세대 암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평가된다.
최근 암 면역치료 분야에서는 다양한 단독 치료법이 등장했지만, 암세포가 형성하는 억제적 종양미세환경(TME)을 완전히 극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면역관문억제제(Anti-PD-1 항체 치료)나 암 백신 단독으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며, 광열치료는 고열에 따른 면역조절 인자 기능 저해라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2가지 이상의 치료법을 병합하는 복합 전략을 통해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핵심은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타깃할 수 있는 종양 특이적 나노입자(TLIF)를 개발한 것이다.
이번에 개발된 TLIF 나노입자는 광감작제(ICG)와 면역조절 단백질인 플라젤린(FlaB)을 포함하고 있어 근적외선(NIR) 빛을 쬐었을 때 종양 부위에서 선택적으로 열을 발생시키고, 면역원성 세포사를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암세포 내 항원이 방출되며,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CD8+ T 세포가 활성화된다.
플라젤린을 면역증강제로 포함한 암 백신(FlaB-Vax)은 면역기억을 형성해 치료 이후에도 재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여기에 면역관문억제제를 함께 적용하면, 면역세포가 암세포의 회피기전을 우회해 지속적인 공격을 이어갈 수 있다.

폐암·대장암·췌장암까지 확대 기대… 임상 연구 준비 중
삼중 병합 치료 전략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강력한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해 재발과 전이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기존 치료법 대비 뛰어난 성과를 보여준다. 연구진은 이 치료법이 폐암, 대장암, 췌장암 등 다양한 고형암 치료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임상 연구를 통해 실용화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MRC 사업(의과대학 및 치의학전문대학원) 및 면역치료혁신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연구진은 이번 융합 치료 전략이 암뿐 아니라 다양한 면역 질환에도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열치료 기반의 종양 제거, 항암 백신을 통한 면역 활성화, 면역관문억제제를 통한 지속적 면역반응 유도라는 세 가지 축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이번 연구는 향후 정밀의료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전남대학교 #암면역치료 #광열치료 #항암백신 #면역관문억제제 #나노입자치료 #플라젤린백신 #고형암치료 #재발방지 #면역치료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