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WCI 지수 4.4 기록, 세계 상위 10% 논문 선정
전남대학교(총장 )는 행정학과 김호균 교수가 국제 저널에 게재한 ‘변혁적 리더십’ 관련 논문이 최근 10년간 국내 대학 연구자 중 연구 영향력(FWCI 기준) 1위를 기록했으며, 피인용 지수 기준으로 세계 상위 10% 논문으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연구 성과 및 학문적 가치 인정받아
김 교수의 논문은 2014년 국제 저널 Public Organization Review에 게재된 “변혁적 리더십, 조직집단문화, 정서적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동: 한국 공공부문의 한 사례”라는 제목으로, FWCI(Field-Weighted Citation Impact) 지수 4.4를 기록했다. 이는 전 세계 평균(0.96)보다 약 4.5배 높은 수치로, 국내 연구자 중 가장 높은 연구 영향력을 나타냈다. FWCI(상대적 피인용지수)는 동일 연구 분야와 발표 연도를 기준으로 논문의 피인용 비율을 분석하는 지표로, 1보다 크면 세계 평균 이상, 1보다 작으면 평균 이하를 의미한다. 김 교수의 논문이 세계 상위 10% 논문으로 선정된 것은 학문적 중요성을 인정받은 성과로 평가된다.
연구 영향력 분석 및 향후 계획
전남대 연구처는 ‘Elservier SciVal’ 시스템을 활용해 2014년부터 2024년까지 Scopus에 등록된 논문 중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luencer; Job Satisfaction’을 주제로 분석한 결과, 김 교수의 연구가 국내 대학 연구자 중 연구 영향력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전남대 연구처 관계자는 “이번 연구 성과는 인문·사회 분야에서 전남대의 연구 영향력을 인정받은 사례로, 앞으로도 학제 간 연구와 연구 성과 분석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2024년 8월부터 SciVal 구독을 통해 연구자들에게 전략적인 지원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성과는 전남대의 연구 역량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향후 연구 성과 분석과 지원 체계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