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겨울철 극한 온도에 응급실 방문 30%↑… 데이터 기반 기후복지 정책 필요성 제기
부산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부 이환희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 경제적 취약계층인 의료급여수급권자가 극한의 기온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응급실을 찾는 비율이 비수급권자에 비해 최대 50%까지 높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2025년 3월 27일, 국제 역학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에 게재되었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분석해, 의료급여수급권자와 비수급권자 간의 응급실 방문 차이를 ‘기온’이라는 변수와 연계해 정량적으로 평가했다. 분석 대상은 전국 의료급여수급권자 전수이며, 주요 변수는 극한 고온 및 저온 노출에 따른 응급실 경유 입원이다.
그 결과, 고온일 경우 18세 이하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응급실 경유 입원 위험은 비수급권자 대비 50% 이상 높았고, 19세~64세 연령군에서도 30% 이상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저온 노출 시에도 19~64세 연령군에서 약 30%, 18세 이하에서는 약 10% 높은 위험도를 나타냈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단순 취약계층 구분을 넘어, 동일한 기온 조건에서도 연령, 성별, 질병 유형 등에 따라 건강 위험과 의료비용이 어떻게 이중적으로 격차를 보이는지를 정밀하게 분석했다. 특히 장애가 있거나 정신질환으로 입원한 경우, 의료급여수급권자와 비수급권자 사이의 격차는 저온일 때 30% 이상, 고온일 때 20% 이상으로 집계됐다.

65세 이상 노년층에서도 비용 격차가 두드러졌는데, 저온일 경우 65~84세 수급자의 초과 의료비용은 비수급자 대비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중년층에서 더 두드러진 건강 위험… 직업환경 영향 커”
이번 연구의 흥미로운 발견 중 하나는 고령층보다 오히려 청년중년층(19~64세)에서 극한 기온에 따른 건강 위험도가 더 두드러졌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실외 근로, 불규칙한 작업 환경, 음주 및 스트레스 등 청·중년층의 취약한 노동환경이 기온 변화에 따른 건강 격차를 키우는 요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단순히 연령에 따른 취약성을 고려한 기존 대응책보다, 실질적인 노동 및 생활환경 기반의 맞춤형 기후복지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의 책임저자인 이환희 교수는 “기후 변화에 따른 건강 영향은 인구 집단별로 불균형하게 작용한다”며, “경제적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데이터 기반 접근을 통해 건강격차를 완화하고 정의로운 기후복지 시스템을 마련하는 데 이번 연구가 기여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글로벌기초연구실(GRL)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연구비 지원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1저자는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아영 박사과정생이 맡았다.
이번 논문은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25년 3월 27일자에 “Double disparities of the excess risks and costs of extreme temperatures on hospitalization between medical aid and non-medical aid populations in South Korea”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부산대학교 #의료급여 #건강격차 #기후위기 #응급실방문 #극한온도영향 #이환희교수 #기후복지정책 #기후건강불평등 #국제역학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