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12억 확보, 5,000명 대상 자기주도형 맞춤 프로그램 운영… 교육 격차 해소도 앞장
조선대학교(총장 김춘성)가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 디지털새싹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3년 연속 선정됐다. 이번 선정으로 조선대는 총 12억 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전국 초·중·고 학생 5,000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및 소프트웨어(SW)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디지털새싹’ 사업은 2022년부터 시작된 국가 대형 프로젝트로, 학생들이 AI·SW 기반 교육을 통해 미래 디지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형 교육을 제공한다. 교육 격차 해소를 핵심 목표로, 참여 학생·학부모·교사들 사이에서 높은 만족도를 기록하고 있다.
조선대는 광주·전남 지역뿐 아니라 전국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디지털 교육의 ‘지역 거점 대학’ 역할을 강화해오고 있다.
자기주도형 모듈 도입… 흥미와 수준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2025년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자기주도형 교육 모듈’의 도입이다. 학생이 자신의 수준과 관심에 따라 교육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돼, 참여도와 몰입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방문형 프로그램은 교사와의 사전 면담을 통해 학급 특성에 맞춰 구성되고, 집합형 프로그램은 사전 상담을 통해 학생의 흥미와 수준을 반영해 맞춤형 커리큘럼으로 운영된다 교육은 지역 AI·SW 기업인 위치스(대표 고미아), 팔칠구삼(대표 박덕화) 등과의 협력을 통해 실무 중심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실무 책임자인 조영주 교수는 “개선된 교육 모델을 통해 참여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지역 간 디지털 격차 해소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으며, 총괄 PM 변재영 교수는 “학생 중심 실습교육을 통해 창의적이고 책임감 있는 디지털 인재 양성에 매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선대 AI·SW교육센터는 이번 ‘디지털새싹’ 사업 외에도 ‘찾아가는 학교 컨설팅’ 등 다수의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 내 디지털 리터러시 확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조선대학교 #디지털새싹 #AI교육 #SW교육 #자기주도학습모델 #디지털격차해소 #미래인재양성 #찾아가는교육 #AI교육거점대학 #교육부공모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