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호 교수 연구팀, 장내 미생물 유래 대사물질이 ‘교모세포종’ 치료 반응률 향상시켜
KAIST가 장내 미생물을 활용해 난치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glioblastoma)’에 대한 면역치료 반응률을 높이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면역치료에 불응하던 고형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며,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뇌종양 치료의 핵심 조절자로 부상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이정호 교수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이 생성하는 특정 대사물질이 뇌종양 환자의 면역 환경을 개선해, 면역항암제의 효과를 강화한다는 사실을 동물모델을 통해 입증했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악성도가 높은 뇌종양으로, 기존 면역항암제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대표적 암종이다.
연구진은 실험쥐 모델에서 특정 미생물을 투여한 결과, 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가 증가하고 종양 크기가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장내 대사물질이 혈류를 통해 전신 면역 환경을 조절하고, 궁극적으로 종양미세환경의 변화를 유도했기 때문이다.
항암제+프로바이오틱스 병용 가능성 열어
이번 연구는 교모세포종의 치료 접근을 기존의 ‘약물 중심’에서 ‘면역환경 중심’으로 전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특정 장내 미생물 또는 그 유래 대사물질을 항암제와 병용 투여하면 치료 반응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형태의 병용 요법 개발 가능성도 제시됐다.

이정호 교수는 “장내 미생물은 단순히 소화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뇌종양과 같은 난치암의 면역 치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후속 연구를 통해 특정 미생물 기반의 맞춤형 면역 치료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 권위지 『Nature Communications』에 7월 1일 자로 게재되었으며, 교모세포종을 비롯한 고형암의 면역치료 전략에서 장내 미생물 기반 치료제 개발에 대한 관심을 더욱 증대시킬 것으로 보인다.
#KAIST #교모세포종 #장내미생물치료 #면역항암제 #마이크로바이옴 #뇌종양치료 #이정호교수 #면역치료혁신 #대사물질면역조절 #NatureCommun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