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 탄소중립시민위원회 출범…강원대는 ‘에너지 혁신인재포럼’서 교육·산업 연계 모델 선보여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두고, 지방정부와 대학이 거버넌스의 주체로 나서고 있다. 춘천시와 강원대학교는 각각 ‘탄소중립 시민위원회’ 출범과 ‘에너지 혁신인재포럼’ 개최를 통해 시민 중심의 정책 참여와 지역기반 인재 양성 모델을 현실화하고 있다.
춘천시, 탄소중립시민위원회 공식 출범…“기후정책, 시민 손으로”
춘천시 탄소중립지원센터는 6월 28일 ‘춘천시 탄소중립시민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시민이 직접 기후 정책에 참여하는 거버넌스 모델을 공식화했다.
시민위원회는 총 50명 규모로 구성되었으며, 기후·환경 분야의 전문가뿐 아니라 다양한 연령·직업군의 시민들이 함께 참여해 ▲정책 자문 ▲사업 모니터링 ▲시민 교육 기획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 출범식에서는 시민위원 위촉장 수여와 함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시민 역할’을 주제로 한 기조강연, 분과별 활동 방향 논의 등도 이뤄졌다. 춘천시는 위원회를 중심으로 기후적응 로드맵, 생활실천 캠페인, 청소년 기후교육 등 실질적 사업들을 추진할 예정이다.
춘천시 관계자는 “기후위기는 행정 주도의 대응을 넘어 시민사회 전체의 공동 참여가 필요하다”며 “시민위원회를 통해 정책의 투명성과 실행력을 동시에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강원대, 에너지 혁신인재포럼서 ‘대학 역할’ 재조명…현판 수여식도 열려
같은 날 강원대학교는 강원도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 주최한 ‘2025 에너지 혁신인재포럼’에 참여해, 지역 기반 에너지 인재 양성 기관으로서의 입지를 공식화했다.
행사 현장에서는 강원대가 추진 중인 「에너지 인력양성사업」의 일환인 교육과정 운영 현황이 소개되었으며, 산업부로부터 ‘에너지특화 교육기관’ 인증 현판도 수여받았다.
강원대는 스마트그리드, 수소에너지, 재생에너지 운영 기술 등 차세대 에너지 분야 전공 트랙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기업과 연계한 실습형 프로젝트, 국제연수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박대근 강원대 에너지공학부 교수는 “기후와 에너지 전환은 기술뿐 아니라 사람의 문제”라며 “지역에서 자란 인재가 지역을 에너지 중심지로 이끌 수 있도록, 교육·연구·산업을 연계한 삼중 구조를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춘천시와 강원대학교의 이번 활동은 지방정부와 대학이 각각 정책 수요와 인재 공급의 중심축으로 나서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평가된다.
지방에서 시작된 기후 거버넌스의 실험이 향후 전국적인 시민참여 정책, 에너지 인력양성 체계의 모델로 확산될 가능성도 크다.
#춘천시 #탄소중립시민위원회 #강원대학교 #에너지혁신인재포럼 #기후거버넌스 #시민참여정책 #에너지인력양성 #산학연계교육 #기후위기대응 #지역에너지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