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호준 작가 개인전, 세계 각국 화폐를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독창적 시선… 내년 2월까지 무료 공개
KAIST 서울캠퍼스가 예술과 과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창적인 전시 《Big Coins》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사진작가이자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겸임교수인 지호준 작가의 개인전으로, 5월 19일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서울캠퍼스 경영대학 수펙스(SUPEX) 경영관에서 열린다.
《Big Coins》는 세계 각국 동전의 표면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정밀하게 들여다본 이미지에 정치적, 역사적 맥락을 결합한 실험적 작업이다. 지 작가는 “동전은 단순한 금속 덩어리가 아니라, 한 시대의 권력과 기억이 각인된 인류의 초상”이라며, 작은 물질 안에 담긴 거대한 서사를 조형 언어로 풀어낸다.
대표작 중 하나인 ‘Priced’는 바티칸 동전에 새겨진 교황 요한 23세의 형상과, 2017년 약 4억 5천만 달러에 낙찰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작품 《살바토르 문디》 이미지를 병치시킨다. 또 다른 작품 ‘Ciphered’는 스위스 동전에 등장하는 헬베티아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이 사용한 암호 이미지를 겹쳐놓아, 단순한 화폐의 기능을 넘어선 정치적 해석의 여지를 제공한다.
과학기술대학의 전시 공간, 실험적 상상력과 조우하다
지호준 교수는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출신으로, 대학원 재학 시절 키우던 반려견의 변을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와 결합한 작업으로 주목을 받았던 작가다. 석현정 KAIST 미술관장은 “그의 엉뚱하고 기발한 상상력은 KAIST가 추구하는 창의성과 실험정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전시는 KAIST 미술관이 큐레이션하며, 대전 본원을 넘어 서울 경영대학에서도 꾸준히 개최되고 있다. 윤여선 KAIST 경영대학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새로운 시각적 언어와 철학을 구성원들이 접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전했다.
지호준 작가의 작업은 과학기술과 예술이 융합된 실험적 작품세계로, 이미 국제학술지 『Digital Creativity』의 표지를 장식했고, 주튀르키예 한국대사관, 서울시립미술관, 미국 911 메모리얼센터 등에도 소장되어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이번 전시는 KAIST 구성원은 물론 외부 일반 관람객에게도 무료로 개방된다.
#KAIST서울캠퍼스 #BigCoins전시 #지호준작가 #현미경예술 #동전과역사 #과학과예술융합 #살바토르문디 #SUPEX전시 #KAIST미술관 #전시무료관람